본문 바로가기
식품 미생물 실험방법 및 자료

식품공전 미생물 크로노박터 실험방법

by 아리라-lala 2024. 1. 13.
반응형

크로노박터(엔테로박터 사카자키)는 분유에서 발견될 수 있어 영유아가 섭취할 경우 위험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하며 검출할 수 있는 시험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크로노박터 시험방법

출처 : Pixabay

크로노박터란?

크로노박터(Cronobacter spp.)는 장내 세균의 일종이며 엔테로박터 사카자키(Enterobacter sakazakii)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해당 균이 발견되는 식품으로는 조제분유(powdered infant formula)가 있어 생후 1년 이하의 영아 및 유아가 감염될 수 있는 균입니다. 어린아이들은 건강한 성인보다 면역력이 약하고 감염되면 수막염이나 장염 등이 발생할 수 있어 우리나라에서는 식품에서 불검출을 규격으로 하는 조항을 신설해 실험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크로노박터 실험 배지

(배지 59) EE 배지(Enterobacteriaceae Enrichment broth) 배지 조성
Peptone - 10.0 g / Glucose - 5.0 g / Disodium Phosphate - 8.0 g / Monopotassium Phosphate - 2.0 g / Oxgall - 20.0 g / Brilliant Green - 0.015 g

 

(배지 60) CESA 한천배지(Chromogenic Enterobacter sakazakii Agar) 배지 조성
Tryptone - 15.0 g / Soya Peptone - 5.0 g / Sodium Chloride - 5.0 g / Ferric Amonium Citrate - 1.0 g / Sodium Desoxycholate - 1.0 g / Sodium Thiosulphate - 1.0 g / Chromogen - 0.1 g / Agar - 15.0 g

 

(배지 62) E. sakazakii 한천배지(E. sakazakii Agar) 배지 조성
Tryptone - 20.0 g / Bile Salts No. 3 - 1.5 g / Sodium Thiosulphate - 1.0 g / Ferric Ammonium Citrate - 1.0 g / MUG α-D-glucopyranoside - 0.05 g / Agar - 15.0 g

크로노박터 실험 방법(증균배양)

1. 멸균 증류수 540ml에 검사하려는 검체 60g 또는 60ml를 넣고 35~37℃, 18~24시간 1차 증균배양 합니다.
2. EE 배지 90ml에 배양한 증균배양 액 10ml를 넣고 35~37℃, 18~24시간 2차 증균배양 합니다.
※ 시험조작의 무균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검체를 가하지 않은 동일 멸균 증류수를 대조 시험액으로 진행합니다.
※ 균을 확실하게 검출하기 위해 1차증균 후 2차증균 까지 진행하고 분자생물학 검사법 등을 사용합니다.

크로노박터 실험 방법(분리배양)

1. 1차증균과 2차증균을 마친 EE 배지 증균배양 액을 CESA 한천배지, E. sakazakii 한천배지, CCI 한천배지 중 한 가지 배지에 도말해서 배양합니다.
- CESA 한천배지 : 35~37℃에서 24±2시간 배양 / 청록색 집락
- E. sakazakii 한천배지 : 35~37℃에서 24±2시간 배양 / 장파장의 자외선(366nm) 조사하에 형광을 나타내는 집락
- CCI 한천배지 : 41.5±1°C, 24±2시간 배양 / 청록색 집락
2. 전형적인 집락이 발생한 집락에 대해 확인시험을 진행합니다.

크로노박터 실험 방법(확인시험)

분리배양 배지에서 전형적인 집락 5개를 취한 후 Tryptic soy agar에 접종 후 25℃에서 48~72시간 동안 배양합니다. 배양 후 황색 콜로니를 선별해 생화학 실험을 진행합니다.
※ 크로노박터(엔테로박터 사카자키)의 경우 식품공전 내 식중독균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시험법을 사용해 실험을 진행할 수 있으며 Real-time PCR, 유전자 추출 키트 및 장비 등을 이용합니다. 분자생물학적 시험법으로 진행할 경우 배지 실험법보다 정확도가 높고 소량으로도 검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위험 균에 대해서는 식품공전에서는 분자생물학적 시험법을 권장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