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온에서 성장해 냉장식품에서 식중독을 발생시킬 수 있는 여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 실험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출처 : Pixabay
여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란?
여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Yersinia enterocolitica)는 장내세균과에 속하는 그람음성간균으로 37℃에서는 운동성을 나타내지 않지만 30℃에서는 운동성을 나타냅니다. 저온에서 성장할 수 있어 냉장식품의 식중독 원인균으로도 알려져있으며, 미호기성균이지만 혐기성과 호기성 상태에서 모두 성장 가능합니다. 생존할 수 있는 곳은 많지만 열처리에 의해 쉽게 사멸되기 때문에 음식 조리 시 고온에 조리해서 먹는걸 권장하며 감염성이 매우 높아 실험시에도 주의를 요합니다.
여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 실험 배지
(배지 44) PSBB 배지 배지 조성
Disodium Phosphate - 8.23 g / Monosodium Phosphate - 1.2 g / Bile Salts No.3 - 1.5 g / Sodium Chloride - 5 g / D-Sorbitol - 10 g / Peptone - 5 g
(배지 97) ITC 배지 배지 조성
Enzymatic digest of casein - 10.0 g / Yeast extract - 1.0 g / Magnesium chloride hexahydrate(MgCl2.6H2O) - 60.0 g / Sodium Chloride - 5.0 g / Malachite green, 0.2% aqueous solution - 5.0 mL
(첨가 서플리먼트 조성) Ticarcillin solution 1 mL / Irgasan solution 1 mL / Potassium chlorate solution 10 mL
(배지 45) CIN 한천배지 배지 조성
Peptone - 20 g / Yeast Extract - 2 g / Mannitol - 20 g / Sodium Pyruvate - 2 g / Sodium Chloride - 1 g / Magnesium Sulfate Heptahydrate - 0.01 g / Agar - 12 g
(배지 30) MacConkey 한천배지 배지 조성
Peptone - 17.0 g / Polypeptone - 3.0 g / Lactose - 10.0 g / Bile Salts No.3 - 1.5 g / Sodium Chloride - 5.0 g / Neutral Red - 0.03 g / Crystal Violet - 0.001 g / Agar - 13.5 g
여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 실험(증균배양)
PSBB 배지(Peptone Sorbitol Bile Broth) 225ml에 검체 25g 또는 25ml를 넣고 시험용액 10ml를 ITC 배지(Irgasan, Ticarcillin and potassium chlorate broth) 90ml에 넣어줍니다. 배지별로 각각 시험용액을 가해주고 25℃에서 48시간 동안 증균배양 해줍니다.
※ PSBB 배지와 ITC 배지의 시험조작의 무균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검체를 가하지 않고 실험합니다.
여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 실험(분리배양)
증균배양한 PSBB 배지(Peptone Sorbitol Bile Broth)의 배양액과 ITC 배지(Irgasan, Ticarcillin and potassium chlorate broth) 배양액 각 0.1ml를 0.5% KOH가 함유된 0.5% 식염수 1ml에 섞어주고 이 용액을 CIN 한천배지와 MacConkey Agar에 각각 접종 후 30℃에서 24±2시간 배양합니다.
※ PSBB 배지 증균배양액 → CIN 한천배지, MacConkey Agar 각각 계대배양 합니다.
여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 실험(확인시험)
분리 배양한 배지에서 의심집락을 각각 TSI 사면배지의 사면과 고층부에 접종해 35~37℃, 18~24시간 배양 후 가스와 황화수소를 발생하지 않고 고층부와 사면이 노랗게 변한 균주를 25℃, 37℃에서 citrate, urea시험, 운동성 시험 등을 진행합니다. 운동성 시험의 경우 균에 대해 설명할때 말씀드렸다시피 여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는 25℃에서는 운동성을 가지며 37℃에서는 운동성을 나타나기 때문에 운동성 시험 시 해당 온도로 실험을 진행합니다. citrate 시험 음성, urea 시험 양성, 그람음성 간균인 경우 양성으로 판정합니다.
'식품 미생물 실험방법 및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품공전 미생물 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눔 실험방법 (0) | 2024.01.12 |
---|---|
식품공전 미생물 캠필로박터 제주니/콜리 실험방법 (0) | 2024.01.11 |
식품공전 미생물 장출혈성 대장균 배지 실험방법 (0) | 2024.01.09 |
식품공전 미생물 바실러스 세레우스 정성시험 정량시험 실험방법 (0) | 2024.01.08 |
식품공전 미생물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실험방법 (0) | 2024.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