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 실험의 제일 기본이 되는 일반세균수는 배지 또는 건조 필름 법으로 실험할 수 있으며 배지 이용한 실험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출처 : Pixabay
일반세균이란?
일반세균은 물속에서 활동하는 병원성균을 제외한 모든 균을 얘기하며 혐기성균과 호기성 세균을 통틀어 일컫는 말입니다. 균이라고 해서 나쁜 균만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하실 수도 있지만 우리가 몸에 좋다고 하는 유산균도 일반세균 실험 시에는 같이 검출될 수 있는 점 참고 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균 자체가 사람의 몸에 들어갔을 때 직접적인 병을 일으키지는 않으나 수가 많으면 아플 수 있기 때문에 위생의 척도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식품회사에서 보통 기본적으로 제일 많이 진행하는 실험이며 식품 속에 균이 얼마나 들어있는지 확인을 위해 식품공전에서는 표준평판법으로 실험을 진행합니다.
일반세균 실험 준비물
실험은 표준평판법으로 진행하며 표준한천 배지를 사용하며 배지에 검체를 혼합 응고시켜 배양하고 발생한 세균의 집락 수를 계수하여 생균 수를 산출하는 방법입니다. 표준한천배지의 조성은 식품공전 내 미생물실험, 배지 부분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직접 만들어 사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기성품으로 나와 있는 배지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표준한천배지는 Plate Count Agar(PCA), Standard Methods Agar로도 불립니다.
- 준비물
표준한천배지(Plate Count Agar), 클린벤치(무균 작업대), 오토클레이브(고압멸균기), 배양기(Incubator), 미량저울, 시약스푼, 유산지, 페트리디쉬, 삼각플라스크, 마이크로피펫, 피펫 팁, 증류수
일반세균 실험방법
- 모든 실험은 교차오염 방지를 위해 클린벤치 내에서 진행하시는 걸 권장해 드립니다.
1. 표준한천배지를 배지 제조법에 따라 계량 후 고압멸균기에서 121℃, 15분 멸균합니다. (배지 제조사별 제조 방법 참고)
2. 전처리한 시료 1ml와 10배 단계 희석액 1ml를 페트리디쉬 2장 이상에 분주합니다.
3. 제조한 배지 약 15ml를 분주한 후 페트리디쉬 뚜껑을 덮고 8자를 그리며 뚜껑에 배지가 묻지 않도록 혼합해 응고합니다.
4. 확산집락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다시 배지 3~5ml를 중첩해 응고시켜 줍니다.
5. 응고된 페트리디쉬를 뒤집어 배양기에서 35±1°C에서 48±2시간 동안 배양합니다.
일반세균 집락수 산정
배양 후 집락 수를 빠르게 산정하는 게 좋으며 부득이하게 바로 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배양한 배지를 5℃에 보관시킨 후 24시간 이내에 산정합니다. 1개의 페트리디쉬에서 15~300개의 집락이 생성된 페트리디쉬만 계수에 포함하며 15~300개 이외의 집락이 생성된 결과값은 계수에 포함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모든 결과값이 300개 초과 집락이 발생한 경우에는 300에 가까운 결과값에 대해 밀집 평판 측정법에 따라 계산하며 이와 반대로 모든 결과값이 15개 미만의 집락이 발생한 경우 희석배수가 가장 낮은 것을 측정합니다.
일반세균수 기재 보고
집락 수를 산정한 유효한 플레이트의 값을 가지고 산정하며 발육한 집락의 수치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1플레이트의 집락 수는 상당 희석배수로 곱해주고 그 수치가 표준평판법에 있어 1ml(1g) 중의 세균수가 몇개몇 개인 지 기재 보고 하며 동시에 배양 온도를 기록해 줍니다. 숫자는 높은 단위로부터 3단계에서 반올림하며 유효숫자를 2단계로 끊어 이하는 0으로 합니다. 말이 어렵게 느껴지실 수 있겠지만 이미지를 참고하시면 쉽게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N = 식육 g 또는 mL 당 세균 집락 수
∑C = 모든 평판에 계산된 집락 수의 합
n1 = 첫 번째 희석배수에서 계산된 평판 수
n2 = 두 번째 희석배수에서 계산된 평판 수
d = 첫 번째 희석배수에서 계산된 평판의 희석배수
'식품 미생물 실험방법 및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품공전 미생물 진균수(효모 및 사상균수) 실험방법 (0) | 2023.12.29 |
---|---|
식품공전 미생물 대장균군 정성시험 실험방법 (0) | 2023.12.28 |
식품공전 미생물 세균발육 시험 실험방법 (0) | 2023.12.27 |
식품공전 미생물 시험법 검체 채취 방법 (0) | 2023.12.25 |
미생물 시험 시 필요한 실험 기기 및 기구 (0) | 2023.12.24 |